한동안 유통업계는 '쿠팡 vs 이마트'의 구도로 흘러가는 듯 보였다.
홈플러스가 부도 위기를 맞고 주춤하면서,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쿠팡의 유일한 라이벌로 이마트를 떠올렸다. 이마트는 새벽배송을 포함한 배송 인프라 확장에 나섰다.
하지만, 정작 조용히 움직이고 있던 의외의 복병이 등장했다. 바로 다이소다.
다이소는 최근 서울 강남, 서초, 송파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오늘배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오후 5시 이전에 주문하면 당일 배송도 가능하다는 이 서비스는, ‘단순히 싸기만 한 곳’이라는 기존 이미지를 깬 강한 한 수였다.
가격은 여전히 저렴하다. 1,000원짜리 생활용품부터 문구류, 주방용품, 욕실용품까지 폭넓은 품목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이제는 ‘빠르게 도착’하기까지 한다. 이는 기존의 “가까운 매장에 직접 가야 한다”는 다이소의 한계를 뒤집는 혁신적인 변화다.
특히 쿠팡이나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비교해도 가격 경쟁력은 강력하다. 소비자들이 오프라인에서 봤던 제품을 온라인으로도 믿고 살 수 있다는 점은 신뢰감을 더한다. 배송비도 무겁지 않고, 최소 주문 금액만 넘기면 빠른 배송을 누릴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다이소만의 일이 아니다. CJ대한통운은 최근 주 7일 배송 서비스를 도입하여, 주말에도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이는 한국 소비자들의 빠른 배송에 대한 높은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빠른 속도를 중시하는 한국인들의 특성에 맞춰 앞으로 모든 유통업계에서 빠른 배송은 기본이 되는 사회가 될 것이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은 결국 가격과 품질일 것으로 예상된다.
For a while, the retail industry seemed to be dominated by the rivalry between Coupang and E-Mart.
As Homeplus faced bankruptcy and struggled, most consumers regarded E-Mart as the only competitor to Coupang. E-Mart has expanded its delivery infrastructure, including early morning delivery.
However, an unexpected contender quietly emerged. It was Daiso.
Recently, Daiso launched an "Same-day Delivery" service in some areas of Seoul, including Gangnam, Seocho, and Songpa. If orders are placed before 5 PM, they are delivered on the same day. This service broke away from Daiso's previous image of simply being a low-cost store.
Prices remain affordable, with a wide range of products from 1,000 KRW household items to stationery, kitchenware, and bathroom supplies. And now, these products can be delivered quickly. This marks a revolutionary shift, moving away from the old notion that customers needed to visit a nearby store.
In comparison to Coupang and Naver Smart Store, Daiso’s pricing remains highly competitive. Consumers can now trust purchasing online the same items they saw in-store, adding to their confidence. Delivery costs are also reasonable, and as long as the minimum order amount is met, fast delivery is available.
This shift isn’t just limited to Daiso. CJ Logistics recently introduced a seven-day delivery service, ensuring deliveries even on weekends. This reflects their effort to meet the high expectations of Korean consumers for quick delivery.
In my opinion,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sumers who prioritize speed, fast delivery will become the standard across all retail industries. Ultimately, however, what will capture consumers' hearts will not just be speed but also price and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