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2025년 4월 19일 토요일

모두가 이마트를 외칠 때… 조용히 올라온 쿠팡의 복병

 

(출처: 쿠팡 홈페이지)

한동안 유통업계는 '쿠팡 vs 이마트'의 구도로 흘러가는 듯 보였다.

홈플러스가 부도 위기를 맞고 주춤하면서,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쿠팡의 유일한 라이벌로 이마트를 떠올렸다. 이마트는 새벽배송을 포함한 배송 인프라 확장에 나섰다.

하지만, 정작 조용히 움직이고 있던 의외의 복병이 등장했다. 바로 다이소다.

다이소는 최근 서울 강남, 서초, 송파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오늘배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오후 5시 이전에 주문하면 당일 배송도 가능하다는 이 서비스는, ‘단순히 싸기만 한 곳’이라는 기존 이미지를 깬 강한 한 수였다.

가격은 여전히 저렴하다. 1,000원짜리 생활용품부터 문구류, 주방용품, 욕실용품까지 폭넓은 품목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이제는 ‘빠르게 도착’하기까지 한다. 이는 기존의 “가까운 매장에 직접 가야 한다”는 다이소의 한계를 뒤집는 혁신적인 변화다.

특히 쿠팡이나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비교해도 가격 경쟁력은 강력하다. 소비자들이 오프라인에서 봤던 제품을 온라인으로도 믿고 살 수 있다는 점은 신뢰감을 더한다. 배송비도 무겁지 않고, 최소 주문 금액만 넘기면 빠른 배송을 누릴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다이소만의 일이 아니다. CJ대한통운은 최근 주 7일 배송 서비스를 도입하여, 주말에도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이는 한국 소비자들의 빠른 배송에 대한 높은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빠른 속도를 중시하는 한국인들의 특성에 맞춰 앞으로 모든 유통업계에서 빠른 배송은 기본이 되는 사회가 될 것이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은 결국 가격과 품질일 것으로 예상된다.


For a while, the retail industry seemed to be dominated by the rivalry between Coupang and E-Mart.

As Homeplus faced bankruptcy and struggled, most consumers regarded E-Mart as the only competitor to Coupang. E-Mart has expanded its delivery infrastructure, including early morning delivery.

However, an unexpected contender quietly emerged. It was Daiso.

Recently, Daiso launched an "Same-day Delivery" service in some areas of Seoul, including Gangnam, Seocho, and Songpa. If orders are placed before 5 PM, they are delivered on the same day. This service broke away from Daiso's previous image of simply being a low-cost store.

Prices remain affordable, with a wide range of products from 1,000 KRW household items to stationery, kitchenware, and bathroom supplies. And now, these products can be delivered quickly. This marks a revolutionary shift, moving away from the old notion that customers needed to visit a nearby store.

In comparison to Coupang and Naver Smart Store, Daiso’s pricing remains highly competitive. Consumers can now trust purchasing online the same items they saw in-store, adding to their confidence. Delivery costs are also reasonable, and as long as the minimum order amount is met, fast delivery is available.

This shift isn’t just limited to Daiso. CJ Logistics recently introduced a seven-day delivery service, ensuring deliveries even on weekends. This reflects their effort to meet the high expectations of Korean consumers for quick delivery.

In my opinion,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sumers who prioritize speed, fast delivery will become the standard across all retail industries. Ultimately, however, what will capture consumers' hearts will not just be speed but also price and quality.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2025년 4월 18일 금요일

CJ제일제당, 미국서 비비고 만두 ‘디자인 특허’ 따냈다

출처:  EP KOREA

CJ제일제당이 미국에서 비비고 만두의 ‘가는 줄무늬’ 디자인에 대해 정식 특허를 획득했다.
만두 겉면에 적용된 이 독특한 주름 디자인은 브랜드 고유의 이미지를 살리는 요소로, 미국 시장에서 제품의 외형적 차별화를 꾀하려는 의도가 담겼다.

이번에 등록된 디자인은 만두 전체에 대한 권리가 아니라, 특정 형태에 대한 보호다. 회사 측은 “포괄적인 만두 특허가 아닌, 고유한 형상에 대한 보호 조치”라고 전했다. 실제로 이 특허는 만두 외피의 일정한 패턴과 주름 형상 등에만 적용되며, 맛이나 재료 구성과는 무관하다.

CJ제일제당은 2010년부터 북미 시장에 ‘만두(Mandu)’라는 한국식 표현을 고수하며 현지화를 시도해왔다. ‘덤플링(Dumpling)’이라는 일반적인 단어 대신 한국 고유의 음식명을 알리는 전략을 택한 덕분에, 현재 비비고 만두는 북미 냉동만두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다.

CJ제일제당은 앞으로도 비비고 브랜드를 중심으로 K-푸드의 독창성과 정체성을 살리며, 세계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대표 만두 브랜드가 미국에 디자인 특허를 냈다는 사실이 뿌듯하게 느껴진다. 비비고를 시작으로 더 많은 한식이 전 세계에 널리 알려지길 기대해본다.


CJ CheilJedang has officially secured a design patent in the United States for the distinctive "fine pleat" pattern featured on its Bibigo mandu (Korean-style dumplings). The intricate fold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umplings are a key visual element that enhances brand identity and sets the product apart in the competitive U.S. frozen food market.

The registered patent does not cover the entire dumpling itself but rather protects a specific design aspect. A company spokesperson clarified that this is “not a comprehensive patent for the entire dumpling, but a protective measure for a unique visual shape.” The patent applies solely to the exterior pleat pattern and does not pertain to flavor or ingredient composition.

Since 2010, CJ CheilJedang has maintained the use of the Korean term “mandu” in the North American market, instead of the more generic “dumpling.” This deliberate choice highlights the authenticity and heritage of Korean cuisine. As a result of this localization strategy, Bibigo now holds the No.1 market share in the North American frozen dumpling category.

Looking ahead, CJ CheilJedang stated its intention to further elevate the Bibigo brand and continue promoting the uniqueness and identity of K-food in global markets as a key competitive edge.

As a proud fan of Korean cuisine, it's gratifying to see Korea’s leading mandu brand earn a design patent in the U.S. I hope Bibigo’s success serves as a springboard for more Korean dishes to gain recognition and appreciation worldwide.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2025년 4월 17일 목요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후 일주일간 수도 사용량 228톤… 대통령실 해명과 네티즌 반응은?”

 

구 대통령 관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후 관저에 머무는 동안 사용된 수도량이 논란이 되고 있다.


민주당 김영환 의원의 자료에 따르면, 파면 직후인 4일부터 퇴거일인 10일까지 사용된 수돗물의 양은 약 228톤이며, 이에 따른 수도요금은 약 75만 원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이는 하루 평균 약 28~39톤에 해당한다.

대통령실은 이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혔다.
관저에는 많은 경호 인력과 관리 인력이 24시간 상주하고 있으며, 수돗물은 생활용수뿐만 아니라 조경 및 청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당한 양이 소모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기존에도 일평균 사용량이 25~32톤에 이른다고 덧붙였다.

서울시가 지난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2인 가구의 연간 수도 사용량은 약 159톤이다. 이를 일주일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3톤이 된다.
따라서 윤 전 대통령 측이 사용한 228톤은 약 74~75배에 해당하는 수치로, 상당히 많은 양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네티즌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부는 "비용 구상 청구보다 그 많은 물로 무엇을 했는지 밝혀내는 게 중요하다", "기괴하다", "미스테리물에서 많이 본 듯하다" 등의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뭘 흘려보낸 거 아니냐", "하수도 확인해라", "무언가를 철거할 때 물을 많이 쓴다더라"는 등의 추측도 제기되고 있다.

이번 수도 사용량 논란은 단순한 비용 문제를 넘어, 관저 내에서 실제로 어떤 활동이 있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대통령실의 추가적인 해명과 함께, 관련 기관의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Former President Yoon's Use of 228 Tons of Water After Dismissal Sparks Public Curiosity

After former President Yoon Suk-yeol was dismissed from office, controversy has arisen over the amount of tap water used while he remained at the presidential residence.

According to data released by Democratic Party lawmaker Kim Young-hwan, approximately 228 tons of tap water were used from April 4, the day Yoon was removed from office, to April 10, the day before his departure. The corresponding water bill is estimated at around 750,000 KRW (approx. $550 USD). This amounts to a daily average of 28 to 39 tons.

In response, the Presidential Office issued an official statement. It explained that a large number of security personnel and maintenance staff are stationed at the residence 24/7, and that water is used not only for daily living but also for landscaping and cleaning, leading to high consumption. The office also added that the daily average usage prior to dismissal was already between 25 and 32 tons, implying that the recent usag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Meanwhile, data publish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last year shows that, as of 2021, a two-person household used approximately 159 tons of water annually. When converted to a weekly average, this is just over 3 tons. This means the amount used during the week in question was about 74–75 times higher than a typical household’s usage, raising questions over the scale of consumption.

Online users have reacted with a mix of curiosity and suspicion.
Some commented, “Rather than focusing on the cost, what really matters is what all that water was used for,” and “This feels like something out of a mystery film.” Others speculated, “Maybe something was washed away,” or suggested checking the sewage system, with one remarking, “Large amounts of water are often used when dismantling or removing equipment.”

The controversy seems to go beyond the issue of utility costs, prompting public interest in what activities may have taken place at the residence during that time. Further clarification from the Presidential Office and potential investigation by relevant authorities may be necessary.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2025년 4월 16일 수요일

"지명 아닌 발표"?…헌법재판소, 한덕수의 이완규ㆍ함상훈 헌재판관 '지명'에 제동

한덕수 총리
 

"대통령 권한대행의 재판관 지명, 가능한가? 헌재는 한덕수 총리의 지명에 대해 전원일치로 효력 정지를 결정했다."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헌법재판관 후보자 지명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헌재는 4월 16일, 한 권한대행이 지명한 재판관 후보자 관련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전원일치로 인용했다.

앞서 한 권한대행은 지난 8일,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직무대행과 이미선 헌법재판관의 후임으로 이완규 법제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지명했다.

이에 대해 헌재는 “대통령의 권한을 대행하는 국무총리가 헌법재판관을 지명·임명할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고 단정할 수 없다”며 “해당 행위로 인해 헌법과 법률이 정한 자격과 절차에 따라 임명된 재판관이 아닌 사람에 의해 재판을 받게 될 경우, 국민의 재판청구권이 침해될 수 있다”고 밝혔다.

헌재는 이 같은 판단에 따라, 본안에 대한 판단이 나올 때까지 재판관 임명 절차를 중단하도록 결정했다.

이에 대해 한 권한대행 측은 “이번 발표는 재판관 후보자를 장차 공직에 임명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일 뿐, 법률상 ‘지명’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의견서를 헌재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공권력 행사가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이 사건은 심판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심판청구 각하를 요청했다.

그러나 이러한 해명은 논란을 더욱 키우고 있다. 실제로 한 권한대행은 발표 당시,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의 후임으로 이완규, 함상훈 두 인사를 지명했다”고 직접 발언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언론은 ‘지명은 했지만 지명은 아니다’라는 표현을 통해 한 측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보도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재판관은 국회의 동의 없이 인사청문회를 거친 후 대통령이 임명할 수 있어, 실질적인 공권력 행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논란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특히 헌법소원은 공권력 행사로 인해 국민의 기본권이 침해될 경우 제기할 수 있는 만큼, 헌재의 이번 판단은 중요성이 크다는 평가다.

인터넷상에서도 풍자와 조롱이 이어지고 있다. 네티즌들은 “내 마음속 지명인가?”, “장바구니에 담았을 뿐 결제는 안 했다는 논리와 다를 바 없다”, “음주운전은 아니고, 음주와 운전만 한 거냐” 등의 반응을 보이며 ‘법꾸라지’라는 표현까지 등장시켰다.

일각에서는 헌재의 각하 결정을 유도한 뒤, 다시 지명 절차를 밟으려는 전략일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탄핵된 대통령이 다시는 등장하지 않기를 바랄 뿐만 아니라, 대통령 권한대행의 업무 범위에 대해서도 명확한 법적 기준과 규정이 필요해 보인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권한대행의 역할과 한계를 분명히 정의하는 것이 향후 비슷한 상황에서 혼란을 방지하고, 국가 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as intervened in the nomination of constitutional court judges by Acting Prime Minister Han Duck-soo. On April 16, the court unanimously granted a stay of execution for the appointment of the nominated judges.

Earlier, on April 8, Acting Prime Minister Han nominated Lee Wan-kyu, the Minister of Legislation, and Ham Sang-hoon, a senior judge of the Seoul High Court, as candidates to replace Moon Hyung-bae and Lee Mi-sun on the Constitutional Court.

In response, the Constitutional Court stated,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Acting Prime Minister, who is exercising the President’s powers, has the authority to nominate or appoint constitutional court judges,” adding, “This act may violate the right to a fair trial if judges who do not meet the qualifications and procedures set by the Constitution and law are appointed.”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o suspend the nomination process until a final ruling is made.

In response, Han’s side argued that the announcement was merely an expression of intent to nominate candidates for future public office and did not constitute a formal "nomination" under the law. They also submitted a statement to the Constitutional Court requesting the dismissal of the case, arguing that no public power was exercised, making the case inadmissible.

However, this explanation has sparked further controversy. During the announcement, Acting Prime Minister Han had directly stated, “I have nominated Lee Wan-kyu and Ham Sang-hoon as candidates to replace Moon Hyung-bae and Lee Mi-sun on the Constitutional Court.” As a result, some media outlets have criticized Han’s stance with phrases such as “nomination but not a nomination.”

The issue is at the heart of public debate, as the President can appoint a Constitutional Court judge after a confirmation hearing without the need for parliamentary consent. This raises concerns about the exercise of public power, which, if it violates citizens' fundamental rights, can be challenged in the Constitutional Court. Therefore, the court’s decision is considered significant.

On the internet, there has been satire and mockery. Netizens have reacted with comments like “Is it a nomination in my heart?” “Is it like putting it in the shopping cart but not checking out?” and “It’s not drunk driving, just drinking and driving,” using expressions like “legal trickster.”

Some speculate that the Acting Prime Minister’s side might aim to provoke a dismissal ruling before re-nominating the candidates.

While it is hoped that a president who has been impeached will never again rise to power, the scope of the Acting President's authority should also be clearly defined. In my opinion, clearly defining the role and limits of an Acting President is crucial to preventing confusion in similar situations and ensuring the stability of national governance in the future.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2025년 4월 15일 화요일

“르까프·스케쳐스가 다이소에?… 가격 보고 두 번 놀란다”

 

(출처: 다이소 공식홈페이지)

한국 다이소가 스포츠 브랜드 르까프스케쳐스 제품을 입점시키면서 소비자들의 반응이 엄청나다. 특히 르까프의 카라 반팔 티셔츠가 3,000원에 판매되고 있어 가격 대비 품질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르까프의 카라 반팔 티셔츠는 통기성이 좋은 기능성 원단으로 제작되어 여름철 활동에 적합하다.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으로 제공되며, 메시 소재 티셔츠는 3,000원, 반팔 카라 티셔츠 5,000원으로 가성비가 뛰어난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평소 몇 만원이 넘는 브랜드 제품을 이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만족감을 나타내고 있다.

스케쳐스 양말은 부드럽고 신축성 좋은 소재로 제작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다이소에서는 1,000원에 판매되어 많은 소비자들이 구매하고 있다. 가격은 매우 저렴하지만, 품질은 기대 이상이라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다이소의 스포츠 브랜드 신제품에 매우 열광하고 있다. 일부 소비자들은 다이소에서 운동화도 판매해주기를 바라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필자도 곧 다이소를 방문하여 스케쳐스 양말을 구매할 예정이다.

다만, 다이소에서 이들 브랜드 제품을 판매하는 매장이 제한적이므로, 사전에 판매 여부를 확인하고 방문하는 것이 좋다. 일부 매장에서는 이들 제품을 취급하지 않거나 품절 상태일 수 있으니, 구매를 원한다면 미리 전화로 확인하고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Daiso in Korea has recently introduced products from the sports brands Lecaf and Skechers, and consumers' reactions have been overwhelming. In particular, Lecaf’s polo t-shirts are being sold for 3,000 KRW, raising expectations for quality at such a low price.

Lecaf’s polo t-shirts are made from breathable, functional fabric, making them ideal for summer activities. They come in various colors and designs, with mesh t-shirts priced at 3,000 KRW and polo t-shirts at 5,000 KRW, offering great value for the price. Consumers are highly satisfied, as they can purchase brand-name products that usually cost tens of thousands of KRW at these affordable prices.

Skechers socks are made from soft, stretchy material, providing a comfortable fit. They are sold at Daiso for just 1,000 KRW, and many consumers have already purchased them. Despite the low price, the quality has exceeded expectations.

Consumers are highly enthusiastic about Daiso’s new sports brand products. The price-to-quality ratio has been praised, and some have even expressed hopes that Daiso will start selling athletic shoes in the future. I, too, plan to visit Daiso soon to buy Skechers socks.

However, Daiso stores that carry these brand products are limited, so it’s advisable to check product availability before visiting. Some stores may not carry these items, or they may be out of stock, so it’s a good idea to call ahead and confirm availability if you want to make a purchase.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2025년 4월 14일 월요일

"배달도 아닌데 수수료까지?"… 배민,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 부과에 '해지' 움직임

 


오늘 14일부터 배달의민족은 포장 주문인 픽업 서비스에도 1건당 중개이용료 6.8%의 수수료를 업주에게 부과하기 시작했다. 

그동안 배달 서비스에만 적용되던 수수료가 이제는 포장 주문에도 적용되면서, 자영업자들의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정책 변화는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으며, 일부 업주들은 이미 배달의민족 서비스 해지를 고려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부 자영업자들은 배달의민족의 수수료 부과 확대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으며, 서비스 해지쟁 플랫폼으로의 이동을 고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수수료 인상이 자영업자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더욱 부각시킨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업계의 경쟁 구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더욱 큰 문제는 이러한 부담이 자영업자에게 그치지 않고 소비자에게까지 전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브랜드 모델료를 충당하기 위해 치킨값이 오르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결국 배달의민족의 수수료 정책 변화는 제품 가격 인상을 불러와 소비자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네티즌들은 해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배달의민족 측은 "수수료 인상은 자영업자들의 경영 지원을 위한 조치"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번 조치에 대해 자영업자와 소비자 모두의 반응은 대체로 부정적이다.

수수료 증가로 인한 해지 움직임이 현실화되면, 배달 플랫폼 시장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배달의민족의 대응이 주목되며, 상생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새겨봤으면 한다.


Starting today, April 14, Baedal Minjok (Baemin), a major food delivery platform in Korea, has begun charging merchants a 6.8% commission fee for each pickup order placed through its app.

Previously, this commission was applied only to delivery orders. With the change now extending to pickup orders, small business owners are expected to face an even greater financial burden. The policy shift has sparked widespread controversy among self-employed store owners, with some already considering leaving Baemin’s platform.

Several merchants have strongly criticized the move, expressing concerns over rising operating costs. Some are now weighing the option of switching to competing platforms. Industry observers say the fee hike places additional financial pressure on small business owners and could significantly impact the competitive dynamics of the delivery app market.

The bigger issue, however, is that this burden may not stop with merchants—it could spill over to consumers.
There have already been cases where menu prices increased to cover expensive brand ambassador fees. Similarly, many online users speculate that Baemin’s new commission policy may lead to product price hikes that affect consumers directly.

In response, Baemin stated, “The commission increase is part of our efforts to support the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of our partner businesses.” However, public sentiment toward the decision remains largely negative, both among business owners and customers.

If the trend of service cancellations continues due to the rising fees, the food delivery market may face considerable disruption. Baemin’s response will be closely watched, and this moment may serve as a timely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mutual growth and cooperation.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2025년 4월 13일 일요일

벚꽃이 핀 뒤 항상 비가 내리고 추워지는 법칙…한국 전역 강풍에 날씨 비상

 

봄비 내리는 홍매화 풍경

4월 중순, 봄의 절정이지만 전국 곳곳에 며칠째 비가 내리고 있다. 강풍까지 더해지며 활짝 피었던 벚꽃이 빠르게 자취를 감추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주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내렸고, 여수 지역에는 초속 21.8m의 강풍이 관측됐다. 서울의 경우 나무가지가 바람에 심하게 휘몰아치는 모습이 보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돌풍과 우박까지 동반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기온도 크게 떨어졌다. 4월답지 않게 바람이 차갑게 느껴지며, 환절기인 지금 사람들이 따뜻하게 입고 건강을 챙기고 있다.

휴일이었던 일요일에도 비는 그치지 않았고, 전국 곳곳에 우산을 쓴 사람들로 북적였다.

그런데 이맘때쯤이면 매년 반복되는 풍경이 있다.
벚꽃이 만개한 벚꽃 개화 시기와 봄비가 내리는 시점이 겹친다는 것.

서울, 대구, 광주 등 주요 도시의 벚꽃은 3월 말에서 4월 초에 절정을 찍었으며, 이후 이어진 비로 대부분 꽃잎이 떨어진 상황이다.

필자는 어릴 때 벚꽃이 피면 그저 좋아했지만 어른이 된 지금은 활짝 핀 벚꽃을 보면 곧 비가 오고 추워지면 벚꽃이 다 떨어질테니 빠르게 벚꽃구경을 해야겠다고 생각한다. 매년 틀리지 않는 참 신기한 법칙이다.

매년 이 시기만 되면 "벚꽃 피면 꼭 비가 온다"는 말처럼, 봄비와 벚꽃은 한국 봄날의 대표적인 풍경이 되었다. 다가오는 5월의 꽃을 맞이하고 내년에 더 예쁜 벚꽃 사진을 남겨봐야겠다.


Mid-April, the peak of spring, yet rain has been falling across the country for several days. Strong winds have also caused the cherry blossoms, which bloomed brightly, to quickly fade away.

According to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rain has been falling across the central regions this week, and Yeosu recorded wind speeds of 21.8 m/s. In Seoul, tree branches were seen swaying violently in the wind, and some areas experienced gusts and hail.

Temperatures have dropped significantly. The chilly wind makes it feel unlike April, and people are dressing warmly and taking care of their health during this seasonal change.

Even on Sunday, a holiday, the rain did not stop, and umbrellas were seen everywhere across the country.

At this time every year, there is a familiar sight: the blooming of cherry blossoms coincides with the arrival of spring rain.

Cherry blossoms in major cities such as Seoul, Daegu, and Gwangju reached their peak from late March to early April, and after the rain, most of the petals have fallen.

As a child, I simply enjoyed the blooming cherry blossoms, but as an adult, I now know that once the blossoms bloom, rain and cold weather will soon follow, and the blossoms will quickly fall. It’s a curious, unchanging law every year.

Every spring, the saying "when cherry blossoms bloom, rain always comes" is heard, and the combination of spring rain and cherry blossoms has become a quintessential part of Korea’s spring scene. I look forward to the flowers of May and hope to capture even more beautiful cherry blossom photos next year.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2025년 4월 12일 토요일

서울 아파트 나무, 몸통만 남은 흉물스러운 가지치기로 논란

 

몸통만 남은 서울아파트 가지치기
출처: EP KOREA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진행된 나무 가지치기가 논란을 일으켰다.

이번 작업에서 일부 나무는 머리까지 잘라내는 형태로 가지치기가 이루어져, 경관 훼손주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나무 가지치기는 경관 유지와 안전 관리를 위한 중요한 작업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번 작업에서는 과도한 가지치기로 인해 자연미그늘을 제공하는 나무의 기능이 상실되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나무가 과도하게 잘려나가면서, 아파트 경관뿐만 아니라 기후 완화에도 악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하고 있다.

관리 사무소는 이 작업을 사전 동의 없이 진행했으며, 주민들에게 사전 공지나 의견 수렴이 부족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아파트 관리에는 주민 의견 수렴사전 협의가 필수적이라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관리 절차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과도한 가지치기가 단순한 외형적 문제를 넘어서, 나무 생명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한다. 나무의 그늘과 자연적 효용도 감소하고, 잘못된 관리가 지속되면 환경적주민 안전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 아파트 관리 당국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전문가 자문을 받아 향후 더 나은 관리 방안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주민들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향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예정이다.

필자의 아파트도 작년 겨울, 나무가 거의 몸통만 남은 상태로 가지치기된 경험이 있다. 가림막 역할을 하던 나무가 사라져 당황스러웠고, 봄이 되자 꽃도 적게 피어 속상했다. 관리비 예산을 들여 가지치기를 했겠지만, 몇 년이 지나야 다시 자랄 나무를 이렇게까지 잘라야 했는지 의문이 든다.

한편, 한국 네티즌들거의 모든 아파트가 이러한 문제를 겪고 있다고 지적하며, 비정상적인 나무 자르기가 나무의 생명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우려하고 있다. 향후에는 자연과 공존할 수 있는 관리 방식을 채택하길 바란다는 의견이 많다.

특히, 나무가 몸통에서 잎이 자라나는 현상은 나무가 살기 위한 비정상적인 신호라는 설명도 있다. 이는 나무가 생명력을 유지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지만, 정상적인 가지치기와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나무가 장기적으로 건강을 잃을 위험이 크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Severe Tree Pruning Sparks Controversy in Seoul Apartment Complex

Recently, severe tree pruning in an apartment complex in Seoul has sparked controversy.

In this particular instance, some trees were pruned so drastically that only the trunks remained, leading to concerns about damage to the landscape and potential safety risks for residents.

Tree pruning is an essential task for maintaining the landscape and ensuring safety, but the excessive pruning in this case has been criticized for diminishing the natural beauty of the trees and eliminating their ability to provide shade and regulate temperature.

Some residents argue that the over-pruning not only affects the visual appeal of the apartment complex but also has a negative impact on climate control.

It is reported that the management office carried out this pruning without prior consent or consultation with residents. Experts stress the importance of resident input and prior agreements when it comes to apartment management, calling for improvements to management procedures following this incident.

Experts warn that excessive pruning goes beyond a mere aesthetic issue, as it can significantly harm the trees' vitality. The trees' ability to provide shade and their ecological benefits are also reduced, and if mismanagement continues, it could have long-term environmental and safety consequences.

The apartment management authorities are currently taking steps to prevent a recurrence and are consulting experts to develop better management strategies. Additionally, they plan to enhance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to ensure that similar issues do not arise in the future.

In my own apartment, last winter, the trees were pruned to the point where only the trunks were left, causing concern. The trees, which used to provide a shield on the balcony, were gone, and in the spring, few flowers bloomed, which was disappointing. While the pruning was likely done with the budget allocated for it, I wonder if it was necessary to cut them so drastically, knowing it will take years for them to regrow.

Meanwhile, many online users in Korea point out that nearly all apartment complexes face similar issues. They express concern about the abnormal pruning, which they believe significantly impacts the trees' vitality. Many hope that in the future, apartment management will adopt approaches that allow for coexistence with nature.

In particular, the fact that leaves are growing from the trunks is seen as an abnormal signal that the tree is struggling to survive. Experts warn that, without proper pruning and care, these trees are at risk of losing their health in the long run.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2025년 4월 11일 금요일

인스타그램 친구 지도(Friend Map) 기능, 한국 시범 도입…실시간 위치 공유 시작

인스타그램이 4월 11일부터 한국에 ‘친구 지도(Friend Map)’ 기능을 시범 도입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실시간 위치를 공유하고, 위치 공유를 허용한 친구들의 현재 위치도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기능은 메타가 2023년 초부터 개발해온 것으로, 미국 모바일 메신저 스냅챗의 ‘스냅맵(Snap Map)’과 유사하다.

위치 공유 범위는 ‘함께 팔로우하는 사람’, ‘친한 친구’, ‘특정 계정’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언제든지 위치 공유를 끌 수 있을 뿐 아니라, ‘숨기기 모드’를 통해 현재 위치만 일시적으로 숨길 수도 있다.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도 유연한 설정이 가능한 셈이다.

인스타그램 측은 “오프라인 만남을 더 쉽게 돕기 위한 기능”이라며, “사용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설계했다”고 전했다.

Instagram Pilots ‘Friend Map’ Feature in Korea Starting April 11

Instagram has launched a pilot of its new Friend Map feature in South Korea starting April 11.

The feature allows users to share their real-time location and view the live locations of friends who have opted in.

Originally developed by Meta in early 2023, the Friend Map bears similarities to Snapchat’s Snap Map.

Users can choose who can see their location—mutual followers, close friends, or specific accounts.

They can also pause location sharing at any time or use “Hide Mode” to temporarily hide their current location. This provides flexible privacy controls for users.

An Instagram spokesperson said the feature is “designed to make in-person meetups easier,” emphasizing that “user safety remains a top priority.”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파면된 윤석열 측근 김성훈 이광우 사퇴하라"...대통령경호처 직원들 연판장 서명

파면된 윤석열 측근 김성훈 경호처장 직무대행

대통령경호처 직원들이 불법 계엄을 이유로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측근인 김성훈 경호처장 직무대행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의 사퇴를 요구하는 연판장을 공개했다.

연판장이란 특정 사안에 대해 여러 사람의 서명을 모은 서명운동을 의미한다.

이번 연판장은 권한행사 중지 청원의 건으로, 상명하복의 문화인 경호처 직원들이 수뇌부의 사퇴를 요구하는 것은 1963년 경호처 창설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다음은 대통령경호처 연판장 내용이다.

지금의 경호처는 '사병 집단'이라는 조롱 섞인 오명과 함께 조직 존폐의 기로에 서 있다.

김성훈 대행과 이광우 본부장이 사태의 원인 제공자이며, 이들의 권한 행사를 중지하고 물러나야 한다.​

두 사람은 대통령의 신임을 등에 업고 경호처를 사조직화했으며, 직권 남용 등 불법 행위를 통해 조직을 위태롭게 했다.

부적절한 언론 인터뷰와 사생활 공개를 통해 공공기관의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하고 조직의 명예를 실추시켰다.​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하고 계엄 관련 증거인멸 교사 등의 혐의로 수사를 받으면서도, 김 대행은 자신의 권한을 이용해 징계를 회피하여조직의 정치적 중립성과 명예를 훼손했다​

이들이 경호처에 계속 남아 있다면 조직 개혁의 동력을 잃게 되고, 외부 시선 또한 왜곡될 수 있다.

경호처 전체 직원 약 700명 중 오늘 오전 약 200명이 서명에 참여했다고 한다.

경호처는 관례적으로 수사기관의 수사 개시 통보가 있을 경우 직위 해제를 했는데 김성훈 대행과 이 본부장 등은 1월 초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의 기관 통보를 받고도 3개월 넘게 직위를 유지하고 있다.

김차장은 파면 사흘 뒤 간부급 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을 따라 거취를 정리할 생각이 없으며, 경호처에 남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전직 대통령 경호부 편성과 차기 대통령 경호팀 편성 등 조직 관리를 마무리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Employee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have unveiled a petition calling for the resignation of Kim Seong-hoon, Acting Director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and Lee Gwang-woo, Head of the Security Division, who were dismissed due to their involvement in the illegal martial law.

A petition refers to a signature campaign to gather support for a particular issue.

This petition calls for the cessation of their authority, and the demand for the resignation of top officials by the employee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who operate under a strict hierarchical culture, marks the first time in the 62-year history of the service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63.

The contents of the petition are as follows:

The current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is at a crossroads of its existence, having earned the mocking label of a ‘military-style group.’

Kim Seong-hoon and Lee Gwang-woo are identified as the root cause of the situation, and they must cease their authority and step down.

Both individuals, backed by the President's trust, have turned the service into a personal organization, jeopardizing its integrity through abuse of power and other illegal activities. They have also damaged the service’s reputation and undermined the political neutrality of a public institution through inappropriate media interviews and the public disclosure of private matters.

While under investigation for obstructing the execution of an arrest warrant against former President Yoon Seok-youl and allegedly instructing the destruction of evidence related to martial law, Acting Director Kim Seong-hoon used his authority to avoid disciplinary action, further harming the political neutrality and reputation of the organization.

If they remain in the service, it will lose momentum for organizational reform, and external perceptions may also become distorted.

Of the approximately 700 employees in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around 200 participated in the petition as of this morning.

As per established protocol, the service typically removes officials from their positions upon the initiation of an investigation. However, Kim Seong-hoon and Lee Gwang-woo, despite receiving notification from the Nation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 early January, have maintained their positions for over three months.

Three days after his dismissal, Acting Director Kim reportedly stated in a senior staff meeting that he had no intention of stepping down alongside former President Yoon Seok-youl and would remain in the service. He also mentioned plans to complete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former president’s security team and the preparation of the security team for the incoming president.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2025년 4월 9일 수요일

이수혁, 영화 파란 주인공으로 씨네21 커버와 화보 공개

영화 파란 주인공 이수혁, 씨네21 1501호 단독 커버
(출처: 씨네21 공식인스타그램)

배우이자 글로벌 모델인 이수혁이 영화잡지 씨네21 1501호의 단독 커버를 장식했다.

그는 2025년 씨네21 커버 스타로 선정되어, 영화 '파란'의 주인공으로서 화보를 촬영했다.


란은 미스터리 장르의 영화로, 이수혁은 국가대표 클레 사격선수 역할을 맡아 출연한다. 이 영화에서 그는 죽지 못해 살던 두 사람이 진심으로 살고 싶어진 순간을 함께 경험하며, 깊은 감정선을 섬세하게 표현한다.

영화 파란의 주인공 이수혁의 화보를 지금 바로 감상해보자.


Actor and global model Lee Soo-hyuk graces the solo cover of Cine21 issue 1501.

Selected as the cover star for Cine21 in 2025, Lee Soo-hyuk posed for a photoshoot as the lead actor of the movie Paran.

Paran is a mystery thriller, where Lee Soo-hyuk plays a national clay shooting athlete. In the film, he portrays the journey of two people, who, trapped in a life they can’t escape, discover a genuine desire to live. His performance delicately expresses the deep emotions of this transformation.

Now, take a closer look at the photoshoot featuring Lee Soo-hyuk, the lead actor of Paran.



정면이 아닌 옆모습.
부드러운 조명 아래, 이수혁은 살짝 눈을 감은 듯한 모습으로 서 있다.
전체적으로 차분하고 감성적인 분위기의 컷.


흰 셔츠를 입은 이수혁이 옆으로 돌아선 채,
허리에 손을 대고 고개를 돌려 정면을 바라보고 있다.
절제된 포즈와 간결한 스타일링이 어우러져, 정적인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장면.



눈부신 듯 손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습.
실험적인 구도와 동작이 돋보이며, 인물과 배경의 대비가 강한 컷.


강동인 감독, 이수혁 하윤경 주연의 파란은 4월 9일 개봉했다. 이유채·정재현·최현수의 평을 참고해 본인 취향의 무드를 가진 영화라면 당장 관람해보자.

"감상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2025년 4월 8일 화요일

서울시, 부동산 가격 영향으로 숨긴 싱크홀 위험지역 50곳 MBC 단독 보도

서울 지반침하 고위험 지역 MBC 제공

서울시가 부동산 가격에 미칠 영향을 우려해 숨긴 50곳의 싱크홀 위험지역을 방송사 MBC가 안전을 위해 공개했다고 밝혔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르면, 국가와 지자체는 국민을 보호할 책임을 지며, 안전에 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개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공개된 리스트는 자치구 8곳만 자체 조사해 제출한 것으로, 나머지 지역에 대한 조사는 진행되지 않았거나 비공개인 것으로 보인다.


서울 싱크홀 지반침하 위험지도

'땅 꺼짐' 현상은 낡은 상하수도관에서 물이 새거나, 지하 공사 중 지하수가 유출되어 토사가 휩쓸리면서 발생한다.

지난 3월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명초등학교 인근에서 지름 20m, 깊이 20m 규모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해 오토바이 운전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발생 한 달 전, 지하철 9호선 연장 공사에 참여했던 건설업 관계자는 사고 지점의 현장 붕괴를 우려하는 민원을 제기했으나 서울시는 문제 없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또한, 사고 발생 약 2주 전, 주유소 관계자들로부터 주유소 바닥이 갈라졌다는 민원을 받았으나 서울시는 현장 점검을 하지 않았다.

서울 지역별 싱크홀 발생 현황 2014년 기준

서울시는 지반침하 위험지역을 1~5등급으로 분석한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만들고 특별 점검을 시행했으나, 싱크홀 위험 지역을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는 지역 주민들의 불안감을 초래하고,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네티즌들은 서울시가 싱크홀 위험지역을 공개하지 않는 이유가 강남과 송파구 등 고가 아파트 밀집 지역이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특히 자주 침수되는 강남과 과거 섬을 매립해 만든 송파구 잠실의 위험성은 이미 많은 국민들이 인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오세훈 서울시장에 대한 책임론이 거세지고 있으며, 시민들의 안전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9일 추가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서울시가 애초에 집값에 영향을 미칠 우려로 싱크홀 위험 지역을 공개하지 않겠다는 이유는 사실이 아니었다.

동아일보 취재 결과, 서울시가 작성한 싱크홀 지도는 지하에 대한 정밀 조사가 아닌 단순히 지하 시설을 서면으로 조사한 자료에 불과했다.

서울시는 처음에는 땅속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싱크홀을 예측하는 지도를 만들고자 했으나, 나중에 이를 구현할 기술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해명했다. 결국, 자료가 부실하게 작성되면서 공개를 꺼렸던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지반침하 고위험지역 50곳 목록 (2024.10 각 자치구 취합 후 국토부 보고

The Seoul City government has revealed that it concealed 50 sinkhole risk areas due to concerns about their impact on real estate prices, which were later disclosed by broadcaster MBC for public safety.

According to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Basic Act, the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are responsible for protecting citizens and must actively disclose safety information.

The disclosed list includes only 8 districts that conducted their own investigations. Other areas have either not been investigated or are kept private.

Sinkholes typically occur when leaking old pipes or groundwater during construction wash away surrounding soil, creating empty spaces.

On March 24, a large sinkhole, 20m in diameter and 20m deep, appeared near Daemyeong Elementary School in Gangdong-gu, Seoul, resulting in the death of a motorcyclist.

A month before the incident, a construction worker involved in the extension of Seoul's Subway Line 9 raised concerns about potential collapse at the site, but the city dismissed the worries. Additionally, two weeks before the incident, a gas station reported cracks in its floor, but no inspection was conducted.

The city has created a "Ground Subsidence Safety Map" to assess subsidence risk areas and perform special inspections, but it refuses to disclose these areas, citing concerns over public anxiety and potential effects on property values.

Netizens speculate that the city is reluctant to reveal these areas because wealthy districts, such as Gangnam and Songpa, could be included. The risk of flooding in Gangnam and the reclaimed land of Jamsil in Songpa is well-known.

As a result, public criticism of Seoul Mayor Oh Se-hoon’s responsibility is growing, with increasing calls for prioritizing citizens' safety.

On April 9th, it was additionally revealed that Seoul's initial claim of withholding sinkhole risk area information due to concerns over property prices was not accurate.

According to a report by Dong-A Ilbo, the sinkhole map created by Seoul City was based on a simple written survey of underground facilities, not on detailed underground inspections.

Seoul City explained that while they initially intended to create a map to accurately identify and predict sinkholes, they later discovered they lacked the necessary technology. As a result, the data was inadequately prepared, leading to the reluctance in releasing it.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2025년 4월 7일 월요일

미국 관세 우려로 한국 증시 급락… 코스피·코스닥 5%대 폭락, 그 배경은?

 

2025년 4월 7일 미 관세 강화 우려로 한국 코스피.코스닥 5% 폭락

미국의 관세 강화 우려가 한국 증시에 큰 영향을 미쳤다. 7일,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5%대 폭락하며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미국의 무역 정책이 강화될 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시의 주요 하락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미국의 관세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거 매도세로 돌아섰고, 이는 반도체자동차를 비롯한 주요 업종의 주가 하락을 초래했다. 특히 반도체자동차 관련 종목들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전체 시장을 끌어내렸고,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증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면서 성장주도 하락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가 한국의 수출 경제에 직격탄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경제 불확실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한편, 네티즌들은 주식을 진작 팔았어야 했다는 의견을 내며, 당분간 하락세가 계속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물타기는 자중하자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U.S. Tariff Concerns Impact Korean Stock Market, KOSPI and KOSDAQ Plunge Over 5%

U.S. concerns over potential tariff increases have significantly impacted the Korean stock market. On the 7th, both the KOSPI and KOSDAQ fell by over 5%, marking a sharp decline. The uncertainty surrounding the potential strengthening of U.S. trade policies was a key factor behind this downturn.

As fears grow over the impact of U.S. tariffs on the South Korean economy, foreign investors have shifted to a selling stance, triggering declines in major sectors such as semiconductors and automobiles. Particularly, stocks in the semiconductor and automobile sectors saw substantial drops, dragging the overall market down. This has amplified investor anxiety, affecting the market as a whole.

With growing concerns, there has been a shift toward safe-haven assets, causing further weakness in growth stocks. Experts warn that U.S. protectionism could directly harm South Korea’s export-driven economy, increasing economic uncertainty in the future.

Meanwhile, netizens are expressing regret over not selling stocks sooner, anticipating continued downward pressure in the market. There is a growing sentiment to avoid averaging down in the current climate.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2025년 4월 6일 일요일

미국, 강제 노동으로 생산된 한국 신안 염전 노예 소금 수입금지

 

미국, 강제노동으로 생산된 한국 태평염전에서 난 소금 수입금지

"강제 노동으로 만든 제품은 미국에 들어올 수 없습니다."

미국 세관국경보호청 CBP는 지난 3일 강제 노동으로 생산된 한국 신안 태평염전 소금에 대 수입금지 명령(Withhold Release Order, WRO)을 내렸다.

CBP는 세관 업무 외에도, 강제 노동으로 생산된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는 19 U.S.C. § 1307 미국 법률을 집행하여 미국의 공정한 무역 환경인권 보호를 실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 세관국경보호청(CBP)은 한국 태평염전에서 생산된 소금 제품이 강제 노동을 통해 생산되었다는 정보를 바탕으로 수입 금지 명령을 내렸으며, 이명령은 즉시 발효되어 미국 내 모든 입국 항구에서 태평염전 소금 수입을 압류하게 된다.

미국 세관국경보호청 CBP의 태평염전 조사 과정에서 발견 국제노동기구(ILO)의 강제 노동 지표들이다.

취약성 악용, 속임수, 이동 제한, 신분증 압류, 학대적인 생활 및 근로 조건, 협박과 위협, 신체적 폭력, 부채노예, 임금 미지급, 과도한 초과 근무.

지금까지 미국 강제노동 수입제한국은 중국, 일본, 콩고, 소말리아 등이다.

전라남도 신안에 위치한 태평염전. 신안 염전 노예 문제는 2018년 MBC 다큐멘터리 그것이 알고 싶다를 통해 국민에게 알려졌으나 이슈화가 되었어도 실제로 바뀐게 없었다.

이번 미국의 수입 금지 조치에 대해 대한민국 네티즌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부끄럽고 고맙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30년이 넘는 오랜시간 자국에서도 쉬쉬하고 모른척하거나, 오히려 동조하고 용인해온 염전노예 문제를 다른 나라가 공식적으로 다루고 정상화해준 것에 고마움을 표하는 반응이 많았다. 이 기회에 썩은 것들을 도려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졌다. 또한, 각종 인권단체와 시민단체들이 이익에 따라 움직이며, 이에 대해 침묵하는 비겁한 행동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CBP는 강제 노동에 대한 제보를 정부 기관, 언론, 비정부기구, 일반 대중 등 다양한 출처에서 받고 있다. 강제 노동으로 생산된 제품이 미국에 수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개인이나 조직은 e-Allegations 온라인 무역 위반 신고 시스템을 통해 자세한 제보를 하거나 1-800-BE-ALERT(1-800-232-5378)로 신고하면 된다.


"Products made with forced labor cannot enter the United States."

On the 3rd, 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CBP) issued a Withhold Release Order (WRO) for sea salt from the Taepyung Salt Farm in Sinan, Korea, which was produced through forced labor.

In addition to its customs duties, CBP plays a critical role in enforcing the U.S. law 19 U.S.C. § 1307, which prohibits the importation of products made with forced labor, ensuring fair trade and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U.S.

Based on information that sea salt from Taepyung Salt Farm was produced through forced labor, CBP issued the import ban, which has taken effect immediately, leading to the detention of all Taepyung Salt Farm products at U.S. ports of entry.

During the investigation of Taepyung Salt Farm, CBP identified the following indicators of forced labor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abuse of vulnerability, deception, restriction of movement, retention of identity documents, abusive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intimidation and threats, physical violence, debt bondage, wage withholding, and excessive overtime.

Previously, the U.S. has issued similar import bans for forced labor products from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Congo, and Somalia.

Located in Sinan, Jeollanam-do, Taepyung Salt Farm gained public attention through an MBC documentary, "I Want to Know That," in 2018. However, despite the issue being widely discussed, little had changed.

Regarding the U.S. import ban, the response from South Korean netizens has generally been positive. Many expressed feelings of shame and gratitude. There is widespread appreciation that another country officially addressed and normalized the issue of salt farm slavery, which had been ignored or even condoned domestically for over 30 years. There is also a growing call to use this opportunity to root out corruption. Additionally, criticism has been directed at human rights and civil organizations for acting in their own self-interest, while remaining silent on this issue.

CBP receives reports about forced labor from a variety of sources, including government agencies, the media, NGOs, and the general public.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who suspect that products made with forced labor might be imported into the U.S. can report detailed allegations through the e-Allegations Online Trade Violation Reporting System or by calling 1-800-BE-ALERT(1-800-232-5378).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

2025년 4월 5일 토요일

대학생 코디 25SS 타미진스 Spring Breeze 장원영 화보

25SS 타미진스 spring breeze 장원영 화보
(출처: H.Fashion 공식홈페이지)

타미진스(Tommy Jeans)가 2025년 봄/여름 시즌을 맞아 선보인 25SS 캠페인의 장원영의 두 번째 화보가 공개됐다. 

이번 화보에서는 반묶음 헤어와 트렌디한 링거 티셔츠가 포인트가 되어, 캐주얼하면서도 세련된 봄 분위기를 자아냈다. 

장원영은 아이보리 가디건에 반묶음 헤어를 선택해 한층 더 청순하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강조했다. 

타미진스의 링거 티셔츠는 클래식한 디자인에 현대적인 감각을 더한 아이템으로, 이번 시즌 주목받는 인기 아이템 중 하나이다. 장원영은 블랙 링거 티셔츠로 연청 바지를 매치해, 젊고 자유로운 분위기의 스타일링을 완성했다. 

이 스타일은 봄을 맞이한 트렌디하고 편안한 느낌을 잘 보여주며, 일상에서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코디로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

아래 타미진스 장원영 화보에서 봄 코디를 참고해보자.

Tommy Jeans has unveiled the second photoshoot of Jang Wonyoung for their 2025 Spring/Summer 25SS campaign.

In this shoot, half-up hair and a trendy ringer tee create a casual yet sophisticated spring vibe.

Jang Wonyoung emphasizes a fresh, natural look with an ivory cardigan and half-up hairstyle.

The Tommy Jeans ringer tee combines classic design with a modern twist, making it one of the standout items this season. Jang Wonyoung pairs the black ringer tee with light blue jeans for a youthful, free-spirited style.

This look perfectly captures the trendy and comfortable vibe of spring and is sure to be a popular styling choice that anyone can easily replicate.
Check out Jang Wonyoung's spring looks in the Tommy Jeans photoshoot below.


의자에 앉아 장원영은 마치 봄날의 여신처럼 청순한 모습을 보여준다.
긴 머리와 흰색 가디건, 반바지의 조화가 단정하면서도 순수한 매력을 뽐낸다.
깔끔한 의상은 자연스러운 분위기와 어울린다.


블랙 링거 티셔츠연청 와이드진을 입고 강렬한 매력을 발산한다.
검정색 상의연청색 와이드진은 그녀의 자유롭고 시크한 분위기를 강조한다.


흰색과 핑크가 섞인 그라데이션 긴팔 티셔츠청반바지,
그리고 샌들을 신고 자연스러운 포즈를 취하고 있다.
밝은 색상의 의상은 발랄하고 상큼한 매력을 강조하며,
여유로운 표정과 함께 따뜻하고 여유로운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청반바지샌들이 봄과 여름 사이의 캐주얼한 느낌을 더한다.

장원영은 코랄색상 나시티진청 바지, 그리고 샌들을 입고 여유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코랄색 나시티는 그녀의 따뜻하고 생기 있는 매력을 강조하며, 진청 바지샌들은 자연스러운 캐주얼 룩을 완성한다. 이 조합은 편안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준다.


장원영은 주황색 나시 가디건 세트줄무늬 오프숄더 반팔,
하이웨스트 진을 입고 대학생처럼 톡톡 튀는 매력을 발산한다.
주황색 나시 가디건 세트줄무늬 오프숄더 반팔활발하고 경쾌한 느낌을 주며,
하이웨스트 진이 다리를 길어 보이게 해준다.
이 의상은 대학생의 자유롭고 발랄한 매력을 그대로 담고 있다.
다양한 스타일을 참고해 나만의 유니크 룩을 완성해보자!


Copyright © 2025 EP KOREA. All rights reserved.